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부 4장: 해외와 국내 전문가들이 말하는 어린이 경제교육 방향

카테고리 없음

by 하마타, 잘 될꺼야 2025. 5. 21. 16:05

본문

반응형

 

1부 4장: 해외와 국내 전문가들이 말하는 어린이 경제교육 방향

간단 요약

어린이 경제교육은 돈보다 감정과 선택, 책임을 배우는 과정입니다. 해외와 국내 전문가들 모두 유아기 경제교육은 놀이·감정·관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아이 스스로 선택하고 기다리며 나누는 경험이 경제 감수성의 시작임을 강조합니다. 경제는 교과서가 아니라 일상에서 길러지는 태도입니다.


왜 전문가의 관점이 중요한가요?

경제교육은 단순히 돈을 알려주는 것이 아닙니다. 특히 유아기 경제교육은 발달, 감정, 관계 중심의 접근이 핵심입니다. 해외와 국내의 여러 전문가들도 공통적으로 “어린이 경제교육은 정서와 선택, 경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해외 전문가들의 관점

● Dr. Annamaria Lusardi (미국 GFLEC 소장)

“경제교육은 숫자보다 먼저, 행동과 선택의 감각을 길러야 합니다. 특히 어린 시절에는 ‘지금 하지 않기’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중요합니다.”

● OECD 경제교육 보고서 (2020)

“어린이 금융교육은 삶의 기술(Life Skills)입니다. 친구와 나누는 것, 계획 세우기, 기다리는 것 역시 모두 금융 교육입니다.”

● 영국 PFEG (금융교육재단)

“놀이, 이야기, 그림책은 아이들에게 경제 개념을 설명하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국내 전문가들의 관점

● 윤정희 교수 (한국외대 소비자경제학과)

“어린이 경제교육은 돈을 쓰게 만드는 게 아니라, 돈의 가치를 판단하고 그 선택을 책임지게 만드는 교육입니다.”

● 이순형 교수 (서울대 아동가족학과)

“유아기는 습관과 감정이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경제 감수성’을 키워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최현정 대표 (행복한 가정경제연구소 / EBS 육아멘토)

“경제는 교과서가 아니라, 엄마 아빠의 행동으로 가르쳐지는 것입니다. 함께 고르고, 함께 아껴 쓰는 순간이 바로 교육입니다.”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방향

키워드 설명
감정 중심 선택, 기다림, 욕구 조절, 나눔 같은 감정을 경제 교육의 기초로 삼음
놀이 기반 스토리, 역할놀이, 그림책 활용을 통한 자연스러운 개념 학습
실천 연계 아이 스스로 고르고, 계획하고, 결과를 체험할 수 있는 구조
관계 중심 타인과 상호작용(기다림, 고마움, 나눔)을 통한 경제 태도 형성

교사와 부모를 위한 실천 질문

  • 나는 아이에게 “왜 그걸 골랐니?”라는 질문을 자주 던지고 있나요?
  • 아이의 기다림이나 양보 행동을 경제 감수성으로 연결해본 적 있나요?
  • 나 자신이 먼저 ‘고마워’, ‘다음엔 해보자’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나요?

마무리 메시지

경제교육은 더 이상 ‘돈을 모으는 기술’이 아닙니다. 전 세계의 교육자들은 지금, ‘잘 사는 힘’보다 ‘바르게 사는 힘’을 먼저 가르쳐야 한다고 말합니다. 아이의 감정, 일상, 대화 속에 스며든 진짜 경제교육은 오늘 여기에서 시작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