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부 2장. 어린이집에서도 경제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요?

육아정보

by 하마타, 잘 될꺼야 2025. 4. 26. 00:46

본문

반응형

📖 1부 2장

1. 어린이집에서도 경제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요?

경제교육은 특별한 수업이 아닌, 일상 속 대화로 시작됩니다.


■ 도입: “경제는 집에서만 가르치는 거 아닐까요?”

많은 선생님들이 이렇게 말합니다.
“경제는 집에서 용돈 주면서 배우는 거 아닌가요?”
“우리 반 아이들은 아직 숫자도 잘 몰라요.”

하지만 실제로 어린이집에서는 매일매일 ‘경제 이야기’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 블록을 먼저 할지, 그림을 먼저 그릴지 고를 때
  • 간식을 나누며 순서를 정할 때
  • 정리 시간에 자신의 물건을 찾을 때

이런 작은 행동 속에는 선택, 기다림, 소유, 나눔, 책임이라는
경제 개념의 기본 요소들이 숨어 있습니다.


■ 경제는 특별한 교과가 아니라 ‘삶의 태도’입니다

경제교육을 반드시 “돈”으로 시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이들의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감정 중심의 행동과 선택
‘경제 감수성’으로 연결해주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왜 그걸 먼저 하고 싶었니?”
“기다려줘서 고마워, 기분이 어땠어?”
“이건 누구의 물건일까? 그걸 어떻게 알았지?”

이런 질문과 대화가 바로 어린이집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경제 이야기입니다.


■ 실제 예시 상황

상황 1: 선택과 기다림

블록 코너에 한 명만 더 들어갈 수 있는 상황.
두 아이가 동시에 가려 하자, 한 아이가 말합니다.

“내가 기다릴게. 끝나면 나랑 바꿔줘.”

→ 이 장면은 자원 배분, 양보, 순서, 감정 조절이 모두 포함된
경제 감수성 교육의 ‘실천 현장’입니다.


상황 2: 소유와 책임

정리 시간, 한 아이가 다른 아이의 컵을 치우려 하자 주인이 말합니다.

“그건 내가 가져올게. 내 거니까 내가 정리할게.”

소유 인식과 책임의 표현은 초기 경제개념 형성의 출발입니다.

 

■ 교실 속 경제 교육,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까요?

교육 포인트예시 표현연결된 경제 개념
“왜 이걸 골랐니?” 감정 이유 묻기 욕구 표현, 선호
“기다려줘서 고마워.” 감정 공감 자원 분배, 순서
“내가 정리할게요.” 책임 표현 소유, 역할
“누구와 나눌까?” 나눔의 기준 공유, 협동

 

■ 교사를 위한 제안

  • 경제교육은 따로 떼어 하는 수업이 아닙니다.
    놀이와 일상 속 언어에서 충분히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아이의 선택을 존중하고 감정에 이름 붙여주세요.
    “좋아서 골랐구나.” “기다리는 게 어려웠지?” 같은 공감 언어가
    경제 감수성 발달에 결정적입니다.
  • 기록과 대화를 연결하세요.
    관찰일지에 “이 선택은 어떤 감정에서 시작되었는가?”를 한 줄 더 적어보세요.
    그것이 바로 경제교육의 시작입니다.

 

※추가 필요한 사항

 

  • 이 주제에 맞는 확장 활동 예시
  • 교사용 질문지
  • 실제 관찰일지 기록 예시

 

■ 상황이해를 위한 시나리오...

 

주제: “기다릴게, 나중에 할래!”

등장인물:

  • 민서(5세)
  • 준호(5세)
  • 선생님

장소: 어린이집 블록 놀이 코너


✅ 장면 1

(블록 코너에 자리가 1개만 남아 있음. 두 아이가 동시에 달려온다.)

준호:
“나 블록 할래!” (앞질러 들어간다)

민서:
“앗, 나도 하고 싶었는데…” (잠시 멈춘다)


✅ 장면 2

선생님:
“지금 자리가 하나만 남았네. 어떻게 하면 좋을까?”

민서:
(살짝 고민하다가 웃으며)
“그럼 내가 기다릴게요. 준호가 먼저 해요.”

선생님:
“민서야, 멋진 생각이네! 기다리는 거 어려운데, 기분이 어때?”

민서:
“음… 조금 아쉽긴 하지만, 괜찮아요.
그림도 그리다가, 나중에 하면 되니까요!”


✅ 장면 3

준호:
“고마워 민서야! 끝나면 꼭 바꿔줄게!”

민서:
“응! 약속!”


🌱 시나리오 속 경제 감수성 포인트

  • 선택과 조율: 하고 싶은 것을 양보하고 순서를 정함
  • 감정 인식: 아쉬운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
  • 자원 분배: 제한된 자원을 서로 나누는 태도
  • 결과 수용: 스스로 선택한 기다림을 기분 좋게 받아들이는 태도

이 시나리오는

  • 어린이집 경제 감수성 교육
  • 역할놀이 활동
  • 교재 대화 예시
    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